이번 약vs약은 용각산과 용각산 쿨과립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용각산은 기침, 가래 증상이 있거나 목이 칼칼하고 간지러울 때 간편하게 드실 수 있어서 많이들 찾으십니다.
용각산에도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용각산과 용각산 쿨과립!
두 제품 모두 물 없이 복용하며, 침에 의해 쉽게 녹아 목 점막에 작용합니다.
오히려 물과 함께 섭취하면 약이 희석되고 바로 위로 넘어가기 때문에 효과가 감소하므로, 물 없이 복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럼 이 두 제품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단순하게 병포장과 스틱포장의 차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사실 이 둘은 약간의 또다른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용각산
용각산은 미립자 분말형태로 되어있어 잘 응집되지 않고 입안에서 고루 분포되어 목에서 오래 머물 수 있는 점이 다른 약들과의 큰 차이점이다.
효능 : 기침, 가래, 인후의 염증에 의한 인후의 통증·부기·불쾌감, 목쉼
성분 : 행인0.83mg/0.3g, 감초가루8.3mg/0.3g, 길경가루11.7mg/0.3g, 세네가가루0.5mg/0.3g
행인 : 살구나무의 씨를 의미하며 기침을 완화시키고 가래를 제거하는 진해거담제 이다.
감초가루 : 항염증 작용이 있으며 기관지를 확장시켜 기침을 완화시키고 다른 약제들을 서로 어우러지게 한다.
길경가루 : 도라지 뿌리를 말린 것으로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다. 사포닌은 기관지에서 뮤신의 양을 증가시켜 가래를 용해시키고 섬모운동을 증가시켜 가래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소염과 진통작용도 있다.
세네가가루 : 기관지 점액의 분비량을 늘려 가래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용법 용량
성인 : 1회 1스푼 0.3g
8 ~ 14세 1회 2/3스푼 0.2g,
5 ~ 7세 1회 1/3스푼 0.1g
1일 3 ~ 6회 물없이 복용한다.
2. 용각산 쿨과립
용각산 쿨과립은 1회용 스틱 과립형으로 출시되어 기존의 병에서 스푼으로 떠먹어야 하는 불편함을 줄여 복용편의성을 높이고, 복숭아향과 민트향이 첨가되어 용각산 특유의 향을 보완했다.
효능 : 기침, 가래, 인후의 염증에 의한 인후의 목쉼, 통증·부기, 불쾌감
성분 : 아선약가루 1.4mg, 인삼가루 14mg, 노스카핀 5mg, 행인가루 2.5mg, 감초가루 17mg 길경가루 14mg, 세네가가루 0.7mg
아선약가루 : 아선약 나무의 어린 잎과 가지의 추출물로 항염작용이 있고 열을 내리며 담을 삭힌다. 또한 음식의 소화를 도와줘서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소화제에 많이 쓰인다.
인삼가루 : 원기를 보하고 면역을 증가시키며, 폐기능을 돕고 진액을 생성한다.
노스카핀 : 생약이 아니며, 비마약성 진해제로 중추에 작용하여 기침을 억제한다.
용각산쿨과립은 기본적으로 용각산에 들어있는 4가지 성분인 행인, 감초, 길경, 세네가에 아선약, 인삼, 노스카핀을 추가하여 7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눈여겨 볼 성분이 노스카핀이다. 용각산쿨과립에만 있는 노스카핀은 생약이 아니며 합성의약품으로 기침,가래에 사용되는 일반의약품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용법 용량
성인 및 15세 이상 청소년 : 1회 1포
11세 이상 15세 미만 : 1회 2/3포
7세 이상 11세 미만 : 1회 1/2포
3세 이상 7세 미만 : 1회 1/3포
3세 미만은 복용하지 않는다.
1일 3~6회 물 없이 복용한다. 복용간격은 2시간 이상으로 한다.
한 눈에 보기
용각산 (0.3g 1스푼) | 용각산쿨과립 (1포) | |
행인 | 0.83mg | 2.5mg |
감초가루 | 8.3mg | 17mg |
길경가루 | 11.7mg | 14mg |
세네가가루 | 0.5mg | 0.7mg |
아선약가루 | - | 1.4mg |
인삼가루 | - | 14mg |
노스카핀 | - | 5mg |
용각산, 용각산쿨과립 복용 시 주의사항
위장장애가 있을 수 있다.
사포닌은 과량 복용 시 복통, 설사, 구토를 유발 할 수 있다.
다른 감기약, 진해거담제, 진정제, 알콜 등과 같이 복용하면 안된다.
임부는 금기이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려요:)
'약 VS 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vs약] 두통약 진통제 게보린 vs 펜잘 (0) | 2022.04.03 |
---|---|
[약vs약] 짜먹는 위장약 제산제 겔포스 vs 개비스콘 (0) | 2022.04.02 |
[약vs약] 마시는 액상형 초기 감기약 판콜에스 vs 판피린큐 (0) | 2022.03.18 |
[약vs약] 인후통 가글 삼아탄툼액 vs 헥사메딘액 (0) | 2022.03.15 |
[약vs약] 쌍화탕 vs 갈근탕 (0) | 2022.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