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 VS 약

[약vs약] 쌍화탕 vs 갈근탕

by NAN 약사 2022. 3. 13.
728x90

겨울에 약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한방제제는 쌍화탕갈근탕이다.

대부분의 손님들은 두 한방제제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두 제품은 쓰임새가 다른 제품이다. 오늘은 쌍화탕갈근탕에 대해 알아보자.

 

  쌍화탕 갈근탕
제품 성분 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추 작약, 감초, 마황, 건강, 계지, 갈근, 대추
용법 1일 3회 식전 or 식간에 복용한다. 1일 3회 식전 or 식간에 복용한다.
효과 피로회복, 자양강장, 자한, 과로, 자한 감기, 코감기, 몸살, 두통, 어깨결림, 근육통
특징 - 움직이지도 않았는데 저절로 땀이 나는 경우에 효과적

- 위장이 약한 사람의 경우 설사나 복통이 일어날 수 있다. 
- 땀이 나는 체질은 맞지 않다.

- 섭취 후 몸을 따뜻하게 해야 효과적

 

쌍화탕

쌍화탕은 태평혜민화제국방이라는 의서에 처음 등장한 처방이며, 동의보감에도 소개되어있다.

음양이 허할 때 쓰는 처방이며, 기혈을 보해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처방이라 해 쌍화탕이라 이름이 붙여졌다.

쌍화탕의 처방구성은 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육계, 감초, 생강, 대추다. 황기건중탕과 사물탕을 합한 처방이다.

쌍화탕은 감기 증상에 효과적인 약이라기보다 피로회복제에 가깝다. 피로감을 심하게 느끼거나 가만히 있어도 저절로 땀이 나고 움직이면 땀이 더더욱 많이 날 때 사용된다. 또한 힘들 일을 하거나 큰병을 앓은 뒤에 보약으로 사용된다.

 

쌍화탕 복용 시 주의점을 살펴보면, 처방 중의 황기는 얼굴빛이 검푸르면서 기운이 충실한 사람에게는 오히려 해로울 수 있으며, 평소 소화력이 약한 사람은 숙지황과 당귀로 인해 소화장애나 묽은 변을 볼 수 있다. 

임산부의 경우 당귀, 천궁, 작약 등이 있어 주의해야한다.

 

갈근탕

갈근탕은 중국의 상한론이라는 의서에 수재된 처방이다. 

 

한의학에서는 감기를 추운 기운, 한기에 의해 생기는 질환으로 본다. 

한기가 피부와 근육속에 들어오면 혈관을 수축시키고 순환이 잘 되지 않는다. 한기가 몸에 들어오면 인체는 땀구멍을 차단하고, 이로 인해 피부와 근육에 수분이 정체되어 몸살 기운을 느끼게 된다.

땀구멍의 차단으로 인해서 땀으로 수분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로인해 비강에서 묽은 콧물이 분비되고 소변이 자주 렵게 된다.

 

갈근탕은 따뜻하고 열을 내는 약재들이 들어있어 땀을 나게 하는 발한작용을 통해 피부 속의 한기를 몰아내주는 약이다.

 

갈근탕의 처방 구성은 갈근, 마황, 계지, 대추, 생강, 감초, 작약이다. 

 

갈근 : 발한, 해열, 근육긴장 완화
마황 : 해열진통, 콧물, 코막힘 완화, 각성작용

작약 : 근육통, 경련완화

건강 : 위장관 운동을 도와주고 담즙 분비를 증가시킴

감초 : 스테로이드와 유사한 항염작용과 위장 보호 효과

대추 : 비위장의 기를 평안하게 해주고 중추신경을 안정시킨다. 

계지 : 피부층의 혈액순환을 도와주고, 찬기운을 발산시켜준다.

갈근탕은 하루 세 번 식전이나 식간에 따뜻하게 데워먹고, 복용한 뒤에는 땀을 낼 수 있게 몸을 따뜻하게 해주어야 효과가 좋다.

갈근탕은 앞서 말했듯이 땀을 내어 질병을 낫게 하는 약인데, 이미 땀이 나고 있거나, 땀을 많이 내어 갈증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갈근탕은 땀이 많이 나는 여름보다 보통 겨울에 쓰는 효과적인 초기 감기몸살 약이다.

 

갈근탕은 초기감기에 짧게 복용하고 장기간 복용하지 않는 약이며, 평소 기저질환(고혈압, 심혈관계질환, 신장애, 당뇨 등)을 앓고 있을 시 주의를 요한다.

 

출처 : 약사공론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728x90

댓글